무엇을 먼저 공부할 것인가?
오늘은 학교에 남아 진지하게 ' A.아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고자 하였다. A.아이는 Siamese Network를 이용해 모델을 만들고자 했고, 오늘 곧바로 여러 인터넷에 나와있는 Siamese Network 코드와 눈문에 나와있는 자료들을 바탕으로 시작할 것이라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이 계획은 곧바로 취소되었다.
단순하게 인터넷에 나와있는 자료들을 Ctrl+C, Ctrl+V 하여 모델을 만드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생각하게 되었다. 이전까진 Siamese Network와 이와 비슷한 각종 네트워크들의 개념, 원리를 공부하였기에 코드는 그대로 가져와 사용하거나 ChatGPT를 이용해 만들면 된다며 간단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오늘 이러한 생각들은 전부 어려운, 혹은 귀찮은 내용들을 공부하기 귀찮은 '나'가 자기합리화를 하는 것이라 깨닳게 되었다. 때문에 나는 모델을 만들기 전 모델의 핵심이 되는 레이어들의 특징, 장단점을 공부하고자 하였으나 학교에 계신 선생님이나 Tensorflow Korea 오픈카톡방에 계신 분들은 여러 유명한 모델을 뜯어보고, 사용해 보고, 여러 데이터를 사용해 보며 각종 모델들의 특징, 장단점을 공부하게 된다면 자연스레 레이어들 또한 공부될 것이라 말해주셨다.
오픈 카톡방 개발자 분들은 진심 어린 조언을 해주셨으며 'cs231n', '기계학습 - 오일석 교수님'자료를 추천해 주셨다. 또한 현재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니 수학 등 학업에 집중하며 대학을 준비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며 일에는 순서가 있는 법인데 현재는 노를 반대로 젓고 있다는 조언 또한 해주셨다.
'잡다한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지막 2022년 (0) | 2022.12.31 |
---|---|
학교에서 세미나 열은 썰 (3) | 2022.11.03 |